➡️$해커디비구매➡️@텔레sein07
쇼핑 플랫폼서 드레스 거래 2배비싼 스튜디오 웨딩사진 대신5만원 드레스·10만원 야외촬영부케도 생화 대신 다이소 조화공정위, 전국 예식장 전수 조사고물가와 경기 침체 속에서 결혼을 준비하는 젊은 세대 사이에서 ‘가성비 웨딩’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웨딩업체를 통해 수백만 원대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를 예약하는 대신 허리띠를 졸라매고 직접 ‘손품’을 팔며 결혼을 준비하는 것이 보편화됐다.최근 결혼식을 올린 이 모씨(30)는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쇼핑몰에서 2만원짜리 웨딩 사진 촬영용 웨딩드레스를 주문했다. 국내 드레스 대여숍에선 7만원에 빌려주는 제품이었는데, 해외 직구를 통해 더 싸게 구입했다. 촬영을 마친 뒤엔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을 통해 재판매하면서 드레스 비용은 사실상 ‘0원’이 됐다. 이씨는 “처음에는 싼값에 실망할까 봐 걱정했는데, 가격 대비 질이 기대 이상이었다”며 “촬영용이나 결혼식 당일 2부 드레스는 굳이 비싸게 대여할 필요가 없다는 걸 깨달았다”고 말했다.패션업계에 따르면 에이블리·지그재그·29CM 등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최근 웨딩 관련 검색량과 거래액이 급증했다. 31일 에이블리는 올 3월 웨딩 관련 거래액을 집계한 결과 ‘스냅 드레스’ 거래액은 2배(100%) 늘었고 ‘스냅 원피스’는 59% 증가했다고 밝혔다.스냅 드레스는 결혼식 전 웨딩 사진을 촬영할 때 입는다. 통상 본식보다는 저렴한 가격에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지그재그에서도 같은 기간 ‘웨딩 스냅’ 키워드 제품 거래액이 173% 증가했다. 29CM에선 3월 들어 ‘셀프 웨딩 패션’ 관련 키워드 검색량이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드레스 대신 입을 수 있는 원피스와 블라우스 거래액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 30% 늘었다.중국 직구도 활발하다. 중국 쇼핑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 타오바오 등에서 10만원 이하 드레스를 직구해 촬영이나 본식 2부에 활용한 후기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온라인에선 “배송이 오래 걸리는 점만 감안하면 국내 드레스숍의 10분의 1 가격에 만족도는 비슷하다” 등의 후기가 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