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59텔레그램RADARDB☑️?대출디비문의]]
정종휴(75) 전 주교황청 대사에게 프란치스코 교황은 각별했다. 2016년 12월부터 두 해에 걸쳐 로마에서 대사로 머물며, 교황을 가까이서 또 멀리서 접할 기회가 있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방문 중인 정 전 대사와 22일 밤, 한 시간 동안 전화 인터뷰를 했다. 정 전 대사는 “새벽 1시에 선종 소식을 듣고 잠을 이루지 못했다. 교황님을 위해 기도하며 그 밤을 보냈다”고 말했다. Q : 교황과 기억에 남는 순간은. A : “2016년 12월이었다. 주교황청 대사로 부임하면 신임장을 제정한다. 그때 교황 독대 기회가 있다. 저에게는 20분 시간이 주어졌다. 10분은 미리 정한 이탈리아어로 말씀을 하시고, 나머지 10분은 독일어로 교황님과 대화했다.” 2016년 12월 정종휴 주교황청 대사가 프란치스코 교황에게서 신임장을 제정하고 있다. 사진 정종휴 전 대사 프란치스코 교황은 독일 아우크스부르크에 머문 적이 있다. 정 전 대사는 뮌헨에서 2년간 연수하며 독일어를 익혔다. “당시 교황님은 못 알아듣는 독일어가 있을까 봐, 독일어에 능통한 몬시뇰을 동석하게 했다. 이해되면 넘어가고, 이해가 안 되면 통역하던 몬시뇰에게 물었다. 상대방에 대한 깊은 배려를 느낄 수 있었다.” Q : 주로 어떤 대화였나. A : “외교관의 관례상 다 이야기할 수는 없다. 주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이야기였다. 교황님은 큰 관심을 보이셨다. 한 마디로 ‘평화의 사도’라는 인상을 강하게 받았다.” 이듬해 1월에 교황청에서 교황의 연두교서가 있었다. 교황은 북핵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170명이 넘는 각국 외교관들이 참석했다. 20분간 연두교서를 낭독한 뒤 프란치스코 교황은 각국 대사들과 악수를 했다. “외교관 수가 워낙 많아서 한 사람당 30초 정도였다. 가볍게 악수하고, 인사만 했다. 그런데 제 차례가 됐을 때는 달랐다.” Q : 어떻게 달랐나. A : “교황께서 만면에 미소를 띠며 제게 다가왔다. 그리고 독일어로 ‘당케, 당케, 헤르찌르케 당케(Danke, Danke, Herzirke Danke!)’라고 하셨다. ‘고맙다, 고맙다,